'메가시티' 동상이몽 속 오세훈-김동연-유정복 3자 회동
수도권 광역단체장 서울서 비공개 만남…합치된 의견 도출은 어려울 듯
오세훈 "단계적 편입" vs 김동연·유정복 "반대"…여타 현안도 입장 차
X
김포시 서울 편입 논의 3자 회동 참석한 오세훈·김동연·유정복 (서울=연합뉴스) 김도훈 기자 = 유정복 인천시장(왼쪽부터), 오세훈 서울시장,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김포시의 서울 편입을 논의하기 위한 3자 회동에서 손을 잡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. 2023.11.16 [공동취재] superdoo82@yna.co.kr
(서울=연합뉴스) 고은지 기자 = 서울과 인접 도시를 합치는 '메가시티' 논의가 수도권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가운데 오세훈 서울시장, 김동연 경기도지사, 유정복 인천시장이 한자리에 모였다.
세 광역자치단체장은 16일 오후 6시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비공개 3자 회동을 했다. 면담 주제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메가시티, 교통카드 정책, 수도권 매립지 등 다양한 수도권 현안을 두루 논의하는 자리로 알려졌다. 면담은 한시간가량 예정돼 있다.
이번 회동은 세 지자체장이 지난달 23일 김 지사의 장모상 빈소에서 만나 합의한 것이다. 당시는 메가시티 논의가 불거지기 전이어서 서울시 '기후동행카드'와 경기도 '더(The) 경기패스' 등 교통카드 정책이 주된 협의 사항이었다.
이후 국민의힘이 메가시티 서울 구상을 내놓고 경기 김포, 구리시가 서울 편입 추진 의사를 밝히면서 메가시티가 이날 회동의 핵심 쟁점으로 부각되는 양상이 됐다.
그러나 메가시티를 두고 세 지자체장의 입장이 판이해서 3자 회동은 사실상 서로의 의견만 교환하는 자리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.
오 시장은 전날 국민의힘 뉴시티 프로젝트 특별위원회 조경태 위원장 등과 면담하면서 6∼10년간 기존의 자치권과 재정중립성을 보장한 완충 기간을 두는 '단계적 편입 방안'을 제시했다.
반면에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김 지사는 "김포(의 서울) 편입은 정책적으로는 지방 죽이기, 정치적으로는 내년 선거를 앞둔 정치 속임수"라며 강하게 반발했다.
여권의 '잠룡' 오 시장과 마찬가지로 민주당의 대권주자 후보군으로 꼽히는 김 지사는 경기를 남북으로 나눠 특화된 지역 발전을 추구하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추진해왔다. 김포의 경우 경기북도에 포함되는 방안이 거론되지만 김병수 김포시장은 이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밝혀왔다.
X
김포시 서울 편입 논의 3자 회동하는 오세훈·김동연·유정복 (서울=연합뉴스) 김도훈 기자 = 유정복 인천시장(왼쪽부터), 오세훈 서울시장,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김포시의 서울 편입을 논의하기 위해 회동하고 있다. 2023.11.16 [공동취재] superdoo82@yna.co.kr
유 시장은 국민의힘 소속이나 김포의 서울 편입에 대해서는 "실현 불가능한 허상이자, 국민 혼란만 일으키는 정치 쇼"라고 신랄하게 비판했다.
유 시장은 관선 김포군수에 이어 민선 1기 김포군수를 거쳐 1·2기 김포시장을 지냈고, 김포에서만 3선 국회의원을 역임해 김포를 잘 아는 정치인으로 통한다. 또 과거 김포 관할이었던 검단면이 현재는 인천에 속한다는 점에서 김포가 서울로 향하는 이번 사안을 바라보는 속내가 복잡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.
다른 수도권 현안에서도 세 지자체장의 입장차를 좁히기는 쉽지 않다.
월 6만5천원으로 서울 시내 모든 교통수단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의 경우 서울시는 수도권 확대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나 경기도는 "서울시의 일방적인 발표"라며 불쾌감을 드러냈다.
김 지사는 지난달 17일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 때 경기도민이면 전국 어디에서나 모든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사용한 교통비의 일부를 환급해주는 The 경기패스를 내년 7월부터 도입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.
김포시가 서울 편입을 원하는 상황에서 인천과 김포 경계에 걸쳐진 수도권매립지 문제도 지자체 간 미묘한 견해 차이가 있을 수 있다.
앞서 김병수 김포시장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"수도권매립지 제4매립장이 김포 땅이라 김포가 서울에 편입되면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"고 발언했다.
오 시장은 지난 6일 김 시장과 면담한 뒤 이 사안과 관련해 "일부 보도에 나온 주민기피시설을 주변 지자체에 넘기거나 할 생각은 없다. 그럴 가능성은 매우 적다"고 선을 그었지만,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강하게 희망하는 인천시는 여전히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.
eun@yna.co.kr
(끝)
<저작권자(c) 연합뉴스, 무단 전재-재배포 금지>
저작권자 ⓒ DIOTIMES 디오타임스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